stockinformation

헷지(hedge)가 무슨뜻이죠?(주식용어)

고징(GJ) 2021. 3. 20. 21:04

오늘은 '헷지'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헷지 또한 주식을 하면서 많이 듣는 단어 중 하나일 겁니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투자 방법이기도 하지요.

'헷지'(hedge)란 무엇인가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서

채권 , 금자산에 투자하거나 인버스, etf와 같은 금융자산에 투자하여

가격 변동의 리스크를 완화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렇게만 들으면 아직 감이 잘 안 오실 겁니다.

쉽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경쟁업체 고징업체와 오징 업체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고징업체가 매출이 증가하면 오징업체의 매출은 떨어집니다.

오징업체의 매출이 증가하면 고징업체의 매출이 떨어집니다.

즉 이 두 개의 업체에 모두 투자하는 게 바로 헷징입니다.

시소의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이런 투자를 한다면 둘 중 하나가 무너지더라도 리스크가 줄어들게 됩니다.

 

'헷지'의 사례로 설명드리자면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은 이미 활율 '헷지'를 통해 

환율 차익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다음 '델타 헷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델타 헷지'란 무엇인가

'델타 헷지'는 기초자산의 가격 변화에 대한 옵션 가티의 민감도를

표현하는 단위인 '델타'값에 근거하여 적정한 수량의 기초자산을

보유하여 옵션의 손 이과 보유하는 기초자산의 손익이 상쇄되도록 하는

금융 기법입니다.

 

ELS를 발행한 금융기관은 자기 또는 제삼자를 통하여 '델타 헷지'를 하여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으로 발생하는 위험을 관리 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얻는 운용 수익으로

상환자금을 마련합니다.

 

ELS와 관련하여 '델타헤지'를 하면 주가 하락 시 주식을 매수하고, 주가 상승 시

주식을 매도하게 되어 수익이 발생합니다.

 

(ELS : 주가연계 증권 ,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에 연계된 금융파생상품)

 

이것으로 '헷지'와 '델타 헷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은 '분산투자'가 기본이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겁니다.

분산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헷지'에 대해 적확한 이해가 필요할 것입니다.

정확히 이해하고 '헷지'를 잘 활용한다면

리스크가 줄어들 것이며 더욱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coupa.ng/cbscNv

 

삼성 중고노트북 NT P530 10만원대 i5 SSD 사무용 인강용 15.6인치 윈10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