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쉐어 리콜(share recal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쉐어(share)는 회사에서 주주들이 쇼유하는 자본금의 비율을 대표하는
가장 작은 구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쉽게말해 쉐어(share)는 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표현할때 사용합니다.
리콜(reacll)은 빌려간것을 상환하도록 요청한다는 뜻입니다.
뜻만 풀어보자면 소유권이 있는 사람에게 주식을 다시 상환한다고
해석할수 있습니다.
스턱(stock)은 한회사 주주의 주식(share)을 일시불로 모은것으로 한주의 주식(share)들을
하나의 펀드로 전환했을 경우 스턱(stock) 이 됩니다.
'쉐어리콜'을 들어보신 분들은 분명 '게임스탑(game stop)'에 대해 알고계실 분들일 겁니다.
하지만 '쉐어 리콜(share recall)'에 대한 정보는 많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아무리 검색해 보아도 정확한 설명이 나와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러 정보와 대조한 결과 정확하진 않지만 어느정도 신빙성 있는
추측성 정보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쉐어리콜(share recall)'을 발표하는 순간 주식의 주인을 찾아줘야 합니다.
즉 빌려준 애들한테 최대한 빨리 갚아야 될 상황이 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쯤되면 무엇인가 생각하시게 될겁니다.
갑자기 '쉐어리콜(share recall)'을 발표하고 강제로 갚게할수 있는 계기가 무엇일까?
제 생각으로는 'FTD(결제 불이행)' 이라고 생각합니다.
gojing.tistory.com/101?category=897000
게임스탑 결제 불이행 (GAME STOP FTD)
요즘 이슈 되고 있는 '게임스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최근 게임스탑 '결제 불이행'에 대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결제 불이행이란 쉽게 말해서 공매도를 하고 상환하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당연
gojing.tistory.com
게임스탑의 숏 포지션들은 여태까지 상당히 많은 공매도를 하였습니다.
수치상으로 누적된 'FTD(결제불이행)'량도 상당하다고 보여지고 있습니다.
'FTD(결제불이행)'은 매수자에게 가야할 주식이 가지못했을때 발생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쉐어리콜'(share recall)'은 소유권이 있는 사람에게
주식을 다시 상환한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렇다면 '쉐어리콜(share recall)'은 한마디로 'FTD(결제불이행)'를 강제로 갚게해야하는 카드로
생각할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공매도세력 입장에서 보면 엄청난 악재인 셈입니다.
'게임스탑(Game stop)' 본사가 있는 텍사스 법에 따르면 주주총회 60일전에만
'쉐어리콜(share recall)'을 한다고 발표할수 있다고 합니다.
작년 주주총회 6월 10일이였고
이번년도 주주총회도 6월10일로 정해졌기 때문에
60일전 약 두달전인 4월 10일전이 '쉐어리콜(share recall)'이 가능한 날입니다.
'쉐어리콜(share recall)'을 발표하게 되면 데드라인이 주어지는데 작년에는 4월 20일 이였다고 합니다.
올해도 똑같이 4월 20일을 기대해볼수 있겠습니다.
'쉐어리콜(share recall)'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부족해서
최대한 짜맞춰 도달한 결론으로 설명을 했습니다.
혹시나 틀린 부분이나 잘못된 설명이 있다면 말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고노트북 주식노트북 고성능 온라인학습용 주식용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stock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무슨뜻이죠? (0) | 2021.04.17 |
---|---|
채권(Bond)이 무슨뜻이죠?(주식용어) (0) | 2021.04.16 |
블랙 먼데이(Black Monday)가 무슨뜻이죠?(주식정보) (0) | 2021.04.15 |
시타델이 무엇일까?(주식정보) (0) | 2021.04.14 |
오퍼링(offering)이 무슨뜻이죠?(주식용어)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