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32

다크풀이 무슨뜻인가요?(주식용어)

오늘은 '다크풀(dark poo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해외주식을 하시는 분들은 적지 않게 들었을 단어입니다. '다크풀(dark pool)'은 세계 주식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큽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다크풀(dark pool)'은 익명 거래 시장으로 금융상품을 은밀하게 거래하는 장소입니다. 기관투자자들이 전용 대량매매를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공용 거래소와는 달리 오더북이 존재하지 않으며 거래도 공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밀스러운 매매를 원하는 기관 투자자들이 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장 종료 후 체결을 보고하고 나면 채결된 거래는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다크풀(dark pool)'거래는 블록 트레이드(block trade)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블록 ..

stockinformation 2021.04.1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무슨뜻이죠?

오늘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subprime mortgag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워낙 유명한 사건이라 다들 한번씩은 들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미국은 저금리 정책이 실시되면서 주택융자 금리가 낮아졌습니다. 대출이자가 낮아졌으니 너도나도 이기회를 노려 집을 사려고 합니다. 낮은 이자때문에 수요가 높아지며 주택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대출을 해서라도 집을사면 집값이 늘어나며 차액까지 얻을수 있어서 무자비하게 담보 대출을 하며 집을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막대한 이익을 챙기던 은행은 여기서 생각을 하게됩니다. 주택담보대출을 각종 채권과 함께 금융상품으로 섞여서 증권화 시킨다는 것입니다. 집값도 게속 올라가고 대출금 상황도 잘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 금융상품은 좋은 신용등급과 높..

stockinformation 2021.04.17

채권(Bond)이 무슨뜻이죠?(주식용어)

오늘은 '채권(bon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채권(bond)'이란 쉽게말해 대출(loan)이나 마찬가지 입니다. 여러분은 돈을 빌릴때 은행에서 대출을 할것 입니다. 기업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기업들도 돈이 필요할때 돈을 빌려야 할때가 있을겁니다. 하지만 개인이 빌리는 것과 기업이 빌리는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개인이 빌릴때는 그렇게 큰 액수가 아니기에 은행에서 대출(loan)해 빌릴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같이 큰 세력은 은행에서 대출(loan)할수 없습니다. 은행의 자급력으로는 기업이 원하는 금액을 빌려줄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기업들은 돈을 어떻게 빌릴수 있을까요? 정답은 바로 '채권(bond)'을 이용하는 겁니다. 정부나, 공공기관, 기업 등 큰 세력들이 자금을 빌리기 위해 투자자들..

stockinformation 2021.04.16

쉐어 리콜(share recall)이 무슨뜻이죠?

오늘은 '쉐어 리콜(share recal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쉐어(share)는 회사에서 주주들이 쇼유하는 자본금의 비율을 대표하는 가장 작은 구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쉽게말해 쉐어(share)는 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표현할때 사용합니다. 리콜(reacll)은 빌려간것을 상환하도록 요청한다는 뜻입니다. 뜻만 풀어보자면 소유권이 있는 사람에게 주식을 다시 상환한다고 해석할수 있습니다. 스턱(stock)은 한회사 주주의 주식(share)을 일시불로 모은것으로 한주의 주식(share)들을 하나의 펀드로 전환했을 경우 스턱(stock) 이 됩니다. '쉐어리콜'을 들어보신 분들은 분명 '게임스탑(game stop)'에 대해 알고계실 분들일 겁니다. 하지만 '쉐어 리콜(share recal..

stockinformation 2021.04.16

블랙 먼데이(Black Monday)가 무슨뜻이죠?(주식정보)

오늘은 '블랙 먼데이' (Black Monda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뉴욕에서 1987년 10월 19일 주가의 대폭락이 일어났습니다. 이날의 뉴욕 다우존스 평균 주가가 하루 만에 508달러 무려 22.6%가 폭락해버려서 어두운 월요일이다 라고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세계 대공황을 일으킨 1929년 10월 28일(Black Thursday)의 폭락 치를 넘어선 역사적인 붕괴 사건이 일어난 것입니다. 1987년 10월 19일 월요일 뉴욕 증권시장에 대량 매도주문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세계의 자본이 몰려있는 뉴욕의 주가는 하루 만에 22.6%가 내려가고 말았습니다. 이날의 폭락 원인은 초기에 정확히 판단할 수 없었습니다. 많은 금융, 증권관자들은 주가 폭락의 원인을 누적되어 온 미국의 재정적자 및 국제수..

stockinformation 2021.04.15

시타델이 무엇일까?(주식정보)

오늘은 ‘시타델’이란 금융회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시타델’의 설립자 '케네스 그리핀'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케네스 그리핀은 1987년대 '블랙 먼데이'라 불리는 주식대폭락 장세에서 투자를 하면서 이름을 날리게 되었습니다. 케네스 그리핀은 일가 친척들로부터 투자받은 자금을 이용하여 투자를 하였고 폭락장에서 대박을 터트리게 되었습니다. 전문가들도 대책이 없던 패닉장에서 대학생이 큰 수익을 얻었다는건 엄청난 빅뉴스 였던 것입니다. '블랙 먼데이' 성공 투자의 비결은 남다른 투자 방식이 있었습니다. gojing.tistory.com/113 블랙 먼데이(Black Monday)가 무슨뜻이죠?(주식정보) 오늘은 '블랙 먼데이' (Black Monda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뉴욕에서 198..

stockinformation 2021.04.14

오퍼링(offering)이 무슨뜻이죠?(주식용어)

오늘은 '오퍼링'(offer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퍼링'은 해외주식을 하면서 적지않게 들려오는 주식 용어 중 하나입니다.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이 오퍼링 기사가 났다고 하면 주가에 영향이 가기 때문에 관심을 안가질수가 없습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퍼링'이란 무엇인가. '오퍼링'이란 기업에 의한 주식발행 또는 판매를 말합니다. '오퍼링'의 뜻은 기업이 추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추가 발행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추가로 찍어내서 자본을 조달하는 점에서 증자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추가로 찍은 주식 수만큼 시중의 유통주식도 늘어나게 됩니다. 유통 주식이 늘어나면 당연히 주가에 영향이 생깁니다. '오퍼링'은 다들 아시다시피 단기 악재입니다. 주가는 기업가치와 주..

stockinformation 2021.04.07

마진콜(Margin Call)이 무슨뜻이죠?(주식용어)

오늘은 '마진콜'(Margin Cal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해외주식을 하신다면 한번씩 들어보셨을 겁니다. '마진콜'은 말 그대로 마진이 남지 않을 때 콜 한다는 의미입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마진콜'이란 무엇인가. '마진콜'이란 중개 회사가 최종 가격을 일일 정산하여 고객의 예탁금의 양이 유지 증거금(10%)을 밑도는 경우 고객에게 부족한 증거금 보전을 통보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선물 거래에서 최초 계약 시 계약이행을 보증하고 채권을 담보하기 위해 예치하고 있는 증거금이 선물 가격의 하락으로 거래를 하기 위한 수준보다 이하로 하락한 경우나 추가 자금을 유치하여 당초 증거금 수준으로 회복시키도록 추가 납부를 요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000원의 주식을 사..

stockinformation 2021.04.06

인버스가 무슨뜻이죠?(주식용어)

오늘은 '인버스'와 '인버스 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버스'를 해석하면 정반대란 의미를 가지고 있지요. 맞습니다 주식의 '인버스'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인버스'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주식은 오르면 수익을 얻고 떨어지면 손해를 봅니다. 하지만 '인버스'는 앞서 말했듯이 일반적인 주식과는 정반대입니다. '인버스'는 주가가 떨어지면 수익을 얻고 주가가 오르면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구조의 '인버스'는 일반적인 상품입니다. '인버스'는 1% 하락 시 1%의 수익률을 얻습니다. 일반상품에서 좀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인버스 레버리지'라는 종목에 투자하실 수도 있습니다. '인버스 레버리지'는 1% 하락 시 2%라는 두배의 수익을 얻게..

stockinformation 2021.03.31

게임스탑(GME) 전날 대비 52.69%폭등한 이유

게임 스탑이 폭락한 후에 다시 52.69% 폭등 해버렸습니다. 과연 폭등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무차입 공매도(naked shorts) 한것을 커버해야 하는데 그게 바로 오늘이었던 것입니다. 이방법의 경우 선매도한 주식에 대해서 차입하여 결제일 (T+2) 전까지 결제를 이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T+6일까지 ETF 공매도를 전달해야 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오늘이 IWM이 3월18일부터 관련된 ETF를 커버해야 하는 날입니다. 3월18일 부터 관련 ETF에 친 naked shorts를 커버하면서 생겨난 폭등이라고 생각합니다. gme를 포함한 ETF가 상당히 많은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T+6 에 공매도된 ETF 주식을 매수하지않으면 매도를 한 시점부터 더 높은 가격에 매수해야할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

stockinformation 2021.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