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PS (Earnings per share)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것입니다
주당 순이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를 주가로 나누면 해당 종목의 주가 대비 순이익률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PS가 10,000원이고 주가가 100,000원 이라다면
주당 순이익률이 10,000원 / 100,000원으로 10%가 됩니다.
이를 은행 이자율과 비교해서 투자 여부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주당 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됩니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회사의 세후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2. PER (Price Earnings Ratio)
특정 주식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나는 값 입니다.
주식가격이 10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0,000원 이라면 PER은 10이 됩니다.
몇년동안 기업에서 돈을 벌면 시가 총액만큼 벌수 있는지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1주당 순이익이 많아지게 되면 PER은 작아지게 됩니다.
내가 투자한 금액을 회수할수 있는 기간이 짧아진다는 의미 입니다.
PER이 높을수록 돈을 회수하는데 오래가 걸린다는 의미도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3.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 입니다.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자산이 50,000원이라면 PBR은 0.2가 됩니다.
PBR이 1이라면 특정 시점의 주가와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이 같은 경우이며
이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자산 가치가 증시에서 저평가 되고 있다고 볼수있습니다.
4.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주식 한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수치 입니다.
현시점 에서 기업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입니다.
BPS 가 높다는것은 기업의 자산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고 실제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 ROE (Return On Equity)
투자된 자본으로 어느정도 이익을 내고있는지에 대한 수치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 (ROE) 이라고 부릅니다.
ROE 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을 사용하여 이익을 어느정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을 볼수있는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본다면 은행에 돈을 넣는것 보다
자신의 돈을 잘 관리하여 이익을 창출해낼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게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수 있습니다.
6. ROA (Return On Assets)
총자산 이익률로 기업의 총자산으로 순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는지에 대한 수치입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좋으며 낮다면 그것이 최소한 부채 좋합의 이자율보다는
높은 수치가 나오고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만약 부채 이자율보다 낮다면 사업을 통해 오히려 빚만 늘어나기 때문에
기업운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마하는것이 됩니다.
투자기업 두곳중 ROE가 둘다 높다면 ROA를 살펴보면 됩니다.
새상품SSD기본 삼성 중고컴퓨터 배그 리니지W 디아2 게임용컴퓨터 주식용 사무용 컴퓨터본체 윈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stock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렌버핏 게임스탑 압박에 은퇴? (0) | 2021.05.04 |
---|---|
게임스탑 801, 002 관련 사항 (0) | 2021.05.03 |
SKIET 일반 공모물량 107만주 추가 (0) | 2021.04.30 |
시타델 100억대 과징금 "코스닥 교란?" (0) | 2021.04.29 |
NH나무증권 매수 매도 오류사건 (0) | 2021.04.28 |